朝鮮独立門の嘘
서울 독립문(서울 獨立門)은 조선 후기의 건축물로 1896년 11월에 착공되어 1897년에 완공되었다. 독립협회가 중심이 되어 조선이 청나라의 책봉 체제에서 독립한 것을 상징하기 위하여[1] 영은문을 무너뜨리고 그 터에 지은 문으로[2][3] 서재필의 주도로 건립되었으며, 서재필의 원작을 배경으로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Середин-Cабатин, 士巴津(사파진), Sabatin, 흔히 사바틴)이 설계·시공했고, 현판은 김가진의 작품이다.
조선의 중국에 대한 사대의 상징인 영은문을 헐고 그 뒷편에 건립되었으며, 독립문 전면에는 영은문이 서 있던 기둥돌이 함께 남아 있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 사적 제32호로 지정되었다.
ソウル独立門(ソウル獨立門)は、朝鮮後期の建築物で、1896年 11月に着工され、1897年に完成した。独立協会が中心となって、朝鮮が清の冊封体制から独立したことを象徴するために、[1] 迎恩門を崩し、その跡に建てられた門で、[2] [3] 徐載弼の主導で建設され、徐載弼の原作を背景に痛くナシ歳アラジンサバティーン(Середин-Cабатин、士巴津(サファた)、Sabatin、しばしばサバティーン)が設計・施工し、扁額はギムガジンの作品である。
朝鮮の中国のの事大の象徴である迎恩門を壊して、その後ろに建立され、独立門の前面には、迎恩門が立っていた柱の石に残っている。1963年 1月21日 大韓民国史跡第32号に指定された。
조선 시대에는 명의 사신들을 맞이하기 위해 서대문 근처에 영은문을 건립하고, 근처에는 사신을 맞이하는 모화관을 건립하였다. '영은'은 은혜로운 대국의 사신을 맞이한다는 뜻이며, '모화'는 중국을 흠모한다는 뜻이다. 명에 대한 조선의 관계는 소중화사상으로 이어져 명나라가 멸망하고 청나라로 교체된 뒤에도 계속되었다.
병자호란과 정묘호란으로 인한 청나라에 대한 반감에 더하여, 예전부터 발해와 고려, 조선을 형님의 나라이며 상국으로 받들던 여진족에 대한 멸시 등이 복합되어 반청 감정은 고조되었고, 북벌론이 등장하게 되었다. 청나라에 대한 반감은 19세기까지 이어졌고 청나라가 유럽 열강과의 전쟁에서 패하기 시작하면서 조선이 자주독립국임을 선언해야 된다는 여론이 강하게 나타났다.
1890년대에 서재필은 영은문과 모화관을 헐고 그 자리에 독립문과 독립관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서재필은 직접 프랑스의 개선문 사진을 보고, 이를 참고하여 독립문의 모양새를 직접 스케치했다. 이는 1896년 건축가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에게 보내졌다.
서재필의 논평
1896년 7월 4일에 발행된 《독립신문》
서재필은 1896년 7월 4일에 발행된 《독립신문》에 게재한 자신의 논평에서 조선이 청나라의 책봉 체제에서 독립한 것을 상징하는 건축물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概要
徐載弼が独立門建設の意義を表明した『独立新聞』1896年7月4日の記事
高さ14.28m、幅11.48m。約1,850個の御影石から作られている。フランスパリのエトワール凱旋門を模して作られた。史跡第32号(1963年1月21日指定)。1979年に整備事業により本来の位置から北西に70m移動された。
日清戦争により日本が清に勝利し、下関条約にて清の冊封体制からの李氏朝鮮の独立を認めさせた。これにより李氏朝鮮は清の支配から解放され、自主独立国家として歩みだすことになったことで、清への服属を象徴していた迎恩門を壊した。その後に登場する独立協会が、迎恩門の跡地のすぐ隣に独立門を建てた。さらに、迎恩門に隣接していた慕華館(모화관)は、独立協会の事務所として独立館(독립관)と改名された。独立門は、独立協会が中心となった募金活動によって建てられた。
조선이 몇 해를 청나라의 속국으로 있다가 하나님 덕에 독립이 되어 조선 대군주 폐하께서 지금은 세계의 제일 높은 임금들과 동등이 되시고, 조선 인민이 세계에서 자유로운 백성이 되었으니, 이런 경사를 그저 보고 지내는 것이 도리가 아니요, 조선 독립된 것을 세계에 광고도 하며, 또 조선 후생들에게도 이때에 조선이 분명하게 독립된 것을 전하자는 표적이 있어야 할 터이요. 또 조선 인민이 양생을 하려면 맑은 공기를 마셔야 할 터이요, 경치 좋고 맑은 데서 운동도 하여야 할지라.
朝鮮が何年も清国の属国であったが、神様の恩恵で独立され、朝鮮大君主陛下が今は世界の首脳と同等な立場となり、朝鮮人民が世界にまたがる自由な人になったがゆえに、このようなめでたいことを無視するのは道理ではない。朝鮮が独立したことを世界に知らせ、また朝鮮の後生に、この時から朝鮮が永遠に独立したことを伝えるためにも表迹(表象)が必要であり、また朝鮮人民が養生するには新鮮な空気を吸い、景色が良く静かな場所で運動をすべきである。慕華館に新しく独立門を建て、その周辺を公園にして千秋万歳自主独立した公園であると伝える志である。
-『独立新聞』1896年7月4日「論説」[1]
일본 혼슈의 최서 시모노세키는 도쿄로 들어가기 위한 관문으로 조선통신사도 이곳을 통해 일본을 왕복했다.
1895년 3월 19일 청의 전권대신 리훙장이 도착한 후 1개월동안 동아시아를 뒤흔들게 되는 회의가 개최되었다. 이런 협상 벌인 장소는 현재의 간몬대교 인근의 슌반로우(春帆樓)라는 요정이었다. 리훙장은 이곳에서 300m 떨어진 인조지(引接寺)에 숙박을 했다.
일본의 대표로는 조슈 번 출신의 이토 히로부미였다. 이미 그들은 10년 전이었던 1885년 톈진에서 조약을 체결할 때 면식을 익힌 적이 있었다.
1895년 3월 20일부터 회담이 시작되었다. 3월 23일 일본은 보병 1개 여단을 대만 서쪽 펑후 제도에 상륙시켰다.
3월 24일, 회담장에서 숙소로 돌아가던 리훙장이 테러를 당했다.[1] 이후 회담은 중단되었다가 4월 8일 부상에서 어느 정도 회복한 리훙장이 회담장에 다시 돌아오면서 급진전 되었다.
4월 17일, 강화조약이 체결 되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청국은 조선으로부터 종주권을 영구히 포기하고, 조선의 완전한 해방을 승인한다.
청나라는 랴오둥 반도, 타이완 섬, 펑후 제도 등 부속 여러 섬의 주권 및 그 지방에 있는 성루, 병기제조소 등을 영원히 일본 제국에 할양한다. (제2조 3항)
청국은 일본국에 배상금 2억냥[2] 을 지불한다. (제4조) 조약 발효 시점부터 7년 이내에 총 8회에 걸쳐 배상금을 분납하고, 기일을 지키지 못하면 5%의 연체 이자를 지급한다. (이 돈은 당시 일본 돈으로 환산하여 3억 6천만엔이었고, 이것은 청나라의 3년치 예산, 일본의 4년 반 치 예산에 해당하는 큰 금액이었다.)[3]
청국의 사스, 충칭, 쑤저우, 항저우의 개항과 일본 선박의 장강 및 그 부속 하천의 자유통항 용인, 그리고 일본인의 거주, 영업, 무역의 자유를 승인한다.
1895년 4월 17일 청나라와 일본 사이에 시모노세키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로 인하여 일본은 청나라가 조선에 대해 가지는 권리를 모두 박탈시켜 대륙 진출의 가장 큰 걸림돌이던 청나라를 효과적으로 배제하였다. 패전국인 청나라는 이 조약으로 인해, 동아시아 패권 다툼에서 일본에 밀리게 되었다. 배상금 2억 냥을 일본에 지불하였으며, 랴오둥 반도와 타이완 섬, 펑후 제도 등을 할양하였으며, 일본의 통상상의 특권을 인정하였다. 하지만 6일뒤 러시아가 독일, 프랑스를 끌여들여 삼국간섭으로 저지시킨다.
日本の本州のチェソ下関は東京に入るためのゲートウェイとして朝鮮通信使もここを通じて、日本を往復した。
1895年 3月19日清全権大臣リフン枚到着後1ヶ月の間、東アジアを揺るがすようになる会議が開催された。このような交渉行った場所は、現在の関門大橋近くのシュンバンロー(春帆樓)という妖精だった。リフン章ここから300m離れた人工地(引接寺)に宿泊をしました。
日本の代表としては、長州藩出身の伊藤博文だった。すでに彼らは10年前だった1885年 天津で条約を締結したときに面識を身につけたことがあった。
1895年 3月20日から会談が始まった。3月23日、日本は歩兵1個旅団を、台湾、西澎湖諸島に上陸させた。
3月24日、会談で宿泊施設に帰ったリフン長テロを受けた。[1]以降の会談は中断されたが、4月8日の負傷である程度回復したリフン枚会談に戻ってきて急進展した。
4月17日、講和条約が締結された内容は、以下の通りである
清は朝鮮から宗主権を永久に放棄し、朝鮮の完全な解放を承認する。
清は遼東半島、台湾島、澎湖諸島などの付属の島々の主権とその地域の胸壁、兵器製造所などを永遠に日本帝国に割譲する。(第2条3項)
清は、日本国に賠償金2オクニャン[2]を支払う。(第4条)条約発効時点から7年以内に合計8回にわたって賠償金を分納して、期日を守らなければ、5%の延滞利子を支給する。(このお金は、当時の日本のお金に換算して3億6千万円であり、これは清の3年分の予算、日本の4年半値予算に対応する大規模な量であった。)[3]
清国のサス、重慶、蘇州、杭州の開港と日本の船舶の長江とその付属河川の自由通航容認し、日本人の居住、販売、貿易の自由を承認する。
1895年 4月17日清と日本の間に下関条約が締結された。これにより、日本は清が朝鮮に対して持つ権利をすべて剥奪させて大陸進出の最大の障害だった清を効果的に排除した。敗戦国である清はこの条約により、東アジアの覇権争いで日本に押されるようになった。賠償金2億両を日本にお支払いしており、遼東半島と台湾島、澎湖諸島などを割譲し、日本の通商上の特権を認めた。しかし、6日後、ロシアがドイツ、フランスを引き込ま三国干渉に阻止させる。